![](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SyWO/btqB5FmG6Jo/ypLEcvotbyUDHtejoDDMX1/img.png)
지난 포스팅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결과 목록을 AJAX로 받아와 원하는 fragments에 보여지도록 하였다. 이번에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때 입력값이 valid한지를 체크하는 예제를 생성해보려고 한다. 자바스크립트로 처리할 수 있는 부분이지만 스프링부트와 타임리프를 쓸 때는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두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validation 체크를 하기 위한 예제로 test8로 요청하면 처리할 컨트롤러와 test8.html을 생성하겠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UKoN/btqB40cNA7y/mauNl3XmS7iCUowotgjTLK/img.png)
이번에는 스프링부트와 타임리프로 웹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컨트롤러로부터 매핑되어 뷰페이지에 보여지는 내용을 AJAX로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바로 이전의 포스팅에서는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을 선택하면 , 값을 저장한 후 그 값이 반영된 목록을 화면이 전환되어 보여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화면 전환없이 바로 같은 화면에 보여지도록 하려면 AJAX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fragment라는 것을 사용하여 원하는 부분에 가져오도록 설정을 할 수 있다. 우선 test7로 요청을 했을 때 처리하는 컨트롤러와 뷰페이지를 생성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yJtLj/btqB0gmROwN/3QCudeh0hAkrdh9vPnFtvK/img.png)
이번에는 뷰페이지에서 많이 쓰이는 것 중에 하나인 Form 태그를 사용할 때 타임리프로 어떻게 표현하는지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예제를 위한 설명은 test6.html에서 폼태그와 input 박스를 통해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고 전송하면 test6_1.html에서 결과 목록을 보여주는 것을 구현한다. 그럼 먼저 컨트롤러에 test6과 test6_1에 요청에 대한 뷰페이지 매핑 처리를 구현해본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package com.joyhong.controller; import javax.servlet.http...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9XOQ/btqBSPDejGV/dyeVU3Wv6EKpqJM9ORLqDK/img.png)
이 포스팅에서는 처음부터 계속 템플릿엔진으로 타임리프를 사용하여 뷰 페이지를 생성할 것이다. 다른 템플릿을 써 본 사람은 쉽게 타임리프를 사용할 수 있을테지만 처음 접하는 사람을 위해 많이 쓰이는 기본적인 것들에 대해서 써 볼 생각이다. 우선 지난 포스팅에서 Controller를 하나 생성하고(TestController2.java) 그 결과를 보여줄 페이지로 test5.html 을 생성하였다. 컨트롤러에서 생성한 결과는 HashMap형태의 결과인데 bookMap 이라는 속성명으로 모델 객체에 담겨졌고, 뷰페이지에서는 모델에 담긴 bookMap의 값을 th:each 라는 구문으로 반복처리하여 결과를 렌더링 하였다. 그럼 test5.html을 조금 변경해보도록 하겠다. 이번에 적용할 부분은 test5.htm..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vjf3V/btqBQ0xDs7X/ocgNDI53YCSlUgymaAuY60/img.png)
이전 포스팅에서는 RestController를 생성하고 업무로직을 임시로 간단히 만들어 구동되는 것을 해보았다. 이번에는 Controller를 생성하고 그에 맞는 뷰페이지를 간단히 만들어볼 예정이다. @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을 사용할 때는 문자열, VO 객체, 자바 컬렉션 등을 뷰페이지 없이 바로 JSON로 변환하게 제공하기 때문에 API를 생성할 때 유용하겠다. 뷰 페이지를 통해 요청에 따른 응답을 제공하려면 @Controller 어노테이션을 통해 컨트롤러를 생성해야 한다. 먼저 TestController2 클래스 파일을 생성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package com.joyhong.co..
- Total
- Today
- Yesterday
- 스프링부트
- 트리플 변환
- LOD
- cypher
- django
- stardog
- networkx
- Linked Data
- property graph
-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 Knowledge Graph
- 타임리프
- 지식그래프
- RDF
- RDF 변환
- Neo4j
- 트리플
- rdfox
- 지식 그래프
- pyvis
- neosemantics
- TBC
- 사이퍼
- TDB
- sparql
- TopBraid Composer
- 장고
- Ontology
- Thymeleaf
- 온톨로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