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 개발을 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를 사용할 수 있겠지만, 그 중에 스프링부트로 웹 개발을 시작하면 빠르고 쉽게 개발이 가능하다고 생각되어 진다. 스프링부트에 대한 설명과 자세한 내용은 조금만 검색해도 찾을 수 있다. 여기서는 스프링부트와 타임리프를 활용하여 웹 개발을 진행하는 내용을 적어보고자 한다. 우선 이클립스에 STS(Spring Tool Suite)가 설치되어 있다면 프로젝트를 하나 생성한다. 프로젝트 종류는 Spring Boot 폴더에 있는 Spring Starter Project를 선택하고 Next를 누른 후 Name과 같은 입력 부분에 원하는 정보를 입력한다. Type은 라이브러리 관리 도구를 설정하는 부분으로 개인적으로 Maven 보다는 Gradle를 더 선호하기 때문에 선택하였다. 메이븐..
SpringBoot+Thymeleaf
2020. 2. 9. 01:22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Ontology
- django
- LOD
- neosemantics
- 지식그래프
- TopBraid Composer
- cypher
- TBC
- TDB
- 온톨로지
-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 트리플 변환
- 장고
- 트리플
- 사이퍼
- property graph
- rdfox
- 지식 그래프
- sparql
- 타임리프
- 스프링부트
- RDF 변환
- networkx
- stardog
- Neo4j
- pyvis
- Thymeleaf
- Linked Data
- Knowledge Graph
- RDF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