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D URL 주관기관 구분 경기도 문화재, 관광 http://lod.gg.go.kr 경기도 공공 서울시 행정데이터 http://lod.seoul.go.kr 서울시 공공 생물정보데이터 http://lod.nature.go.kr/main 국립수목원, 국립중앙과학관 공공 한국사 http://lod.koreanhistory.or.kr 국사편찬위원회 공공 학술정보 http://data.riss.kr/LODintro.do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공공 서지데이터 http://lod.nl.go.kr 국립중앙도서관 공공 제주도 인문지리정보 http://lod.jeju.go.kr 제주도 공공 과학기술정보 http://lod.ndsl.kr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공공 산업재산권 http://lod.kipo.kr/ 특허청 공공 공..
LOD 발행 단계 1. 데이터 분석데이터를 발행하기 전에 데이터 모델, 메타데이터, 데이터 자체를 깊이 들여다보고 분석하는 단계를 통해 대략적인 개요와 발행에 유용한 정보 및 데이터를 준비한다. 2. 데이터 정제Database, XML, CSV 등과 같이 다양한 포맷과 분산된 데이터 소스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쉽게 효율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 이 작업에는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을 데이터를 제거하는 작업도 포함된다. 3. 데이터 모델링발행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RDF로 변환되도록 기존의 어휘나 새로운 모델을 선택해서 모델링을 수행한다. 각각의 개체의 이름으로 사용할 URI 체계를 생성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가 있을 경우 영속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데이터 모델을 꾸준히..
온톨로지 모델 확장은 2011년에 기구축된 주제명, 저자명 온톨로지 모델에 추가적으로 서지데이터의 내용이 반영될 수 있도록 확장하였다. 2011년에 구축된 온톨로지는 SKOS와 FOAF 기반의 주제명, 저자명에 대한 도메인이었으며 2012년에 추가되는 서지 데이터는 다른 개념의 도메인이기 때문에 기존 모델을 확장하였다. 모델 확장을 위해서 서지 도메인 개념이 잘 반영되어 있고 널리 알려져 있는 Bibliographic Ontology (bibo)를 import하여 모델에 반영하였다. 결과적으로 bibo의 어휘를 기본으로 사용하고 FOAF, SKOS의 어휘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였으며 국립중앙도서관에서 필요에 의해 국립중앙도서관만의 어휘를 생성하여 구성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의 주제명은 작년과 마찬가지로 주제명..
국내에 존재하는 SPARQL Endpoint 종류 한의학 온톨로지http://kiom.linkeddata.kr/home/sparql/endpoint.jsp 바이블 온톨로지 -> LOD 클라우드에 국내 최초로 등재http://bibleontology.com/home/sparql/endpoint.jsp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저자명 온톨로지 [데모]http://lod.nl.go.kr/home/sparql/se.jsp UCI 음악 데모http://uci.linkeddata.kr/home/sparql/endpoint.jsp
- Total
- Today
- Yesterday
- Thymeleaf
- cypher
- 지식그래프
- Neo4j
- Knowledge Graph
- Linked Data
- 트리플
- stardog
- LOD
- 타임리프
- RDF
- Ontology
- 지식 그래프
- sparql
- property graph
- 장고
- 트리플 변환
- TopBraid Composer
- django
- pyvis
- TBC
- rdfox
- 사이퍼
- RDF 변환
- neosemantics
-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 온톨로지
- TDB
- 스프링부트
- networkx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