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톨로지 모델 확장은 2011년에 기구축된 주제명, 저자명 온톨로지 모델에 추가적으로 서지데이터의 내용이 반영될 수 있도록 확장하였다. 2011년에 구축된 온톨로지는 SKOS와 FOAF 기반의 주제명, 저자명에 대한 도메인이었으며 2012년에 추가되는 서지 데이터는 다른 개념의 도메인이기 때문에 기존 모델을 확장하였다. 모델 확장을 위해서 서지 도메인 개념이 잘 반영되어 있고 널리 알려져 있는 Bibliographic Ontology (bibo)를 import하여 모델에 반영하였다. 결과적으로 bibo의 어휘를 기본으로 사용하고 FOAF, SKOS의 어휘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였으며 국립중앙도서관에서 필요에 의해 국립중앙도서관만의 어휘를 생성하여 구성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의 주제명은 작년과 마찬가지로 주제명..
국립중앙도서관의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하기 위해 2011년에 시범서비스를 구성하였다. 시범서비스의 대상은 저자명 전거데이터, 주제명 전거데이터로 선정하여 구축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서지, 인명, 주제명 등 다양하면서 방대한 데이터를 웹으로 공유한다면 사회적 연결성과 정보적 연결성이 높은, 미래의 웹이 나아가야 하는 바람직한 방향이라 볼 수 있다.저자명 전거 데이터에서는 저자에 대한 정보로 저자의 이름, 저자의 다른 표기명, 출생연도, 사망연도, 저자에 대한 설명들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저자 정보에 대한 최종 수정일, 저자에 대한 출처 정보 등을 부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저자에 대해 그 저자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어휘를 선정하여 데이터를 매핑하도록 ..
해외 도서관(영국 국립 도서관, 미의회 도서관, 캠브리지 대학 도서관, 스웨덴 국립 도서관, 오슬로 공립 도서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URI 체계는 아래의 표와 같다.대부분 각 기관의 고유 URL에 type/id 형태의 URI를 사용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bibo, dcterms, dc, foaf 어휘를 사용하여 서지데이터를 MARC에서 RDF로 표현하고 있다. 대 상LIBRIS예 시 http://libris.kb.se/resource/auth/223432 (person)http://libris.kb.se/resource/bib/32532 (book)http://libris.kb.se/resource/library/NB (library) 패 턴http://libris.kb/se/resource// 대 상L..
- Total
- Today
- Yesterday
- 온톨로지
- networkx
- 트리플
- TDB
- LOD
- Neo4j
- Linked Data
- sparql
- 지식 그래프
- 스프링부트
- 사이퍼
- Knowledge Graph
- cypher
- 지식그래프
- pyvis
- rdfox
- django
-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 property graph
- neosemantics
- Thymeleaf
- RDF 변환
- TBC
- Ontology
- 장고
- 타임리프
- stardog
- 트리플 변환
- TopBraid Composer
- RDF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