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글은 팔란티어에 대한 세번째 글로서팔란티어 플랫폼에서의 데이터통합과 온톨로지간의 연관성을 다뤄보려고 한다.지난 글 목록2025.02.05 - [N:::만지작 거리기] - 팔란티어 Platform overview2025.02.10 - [N:::만지작 거리기] - 팔란티어 - 왜 온톨로지를 사용하는가?Ontology는 Palantir 플랫폼에 포함된 디지털 자산(데이터셋과 모델) 위에 구축된 개념이다. 즉, 데이터를 단순히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그 데이터가 실제 세계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여러 가지 데이터와 분석 모델을 모아 이를 현실 세계의 사물이나 개념(예: 공장, 제품, 주문 등)과 연관 짓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위의 그림과 같이 데이터와 모델을 다루는 계층 위..

기업에 대한 정보는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공시시스템(DART : 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은 상장법인 등이 공시서류를 인터넷으로 제출하고, 투자자 등 이용자는 제출 즉시 인터넷을 통해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종합적 기업공시 시스템이다. (참고, https://dart.fss.or.kr/introduction/content1.do) 이번 포스트에서는 전자공시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기업의 정보들을 가져와 지식그래프 형태로 구성하고 몇가지 내용을 파악하고 분석해보고자 한다. 전자공시시스템 DART에 공시되고있는 공시보고서 원문 등은 오픈API를 통해 활용할 수 있다. 활용을 원하는 누구든지(개인, 기업, 기관 ..
- Total
- Today
- Yesterday
- TopBraid Composer
- sparql
- 트리플
- Neo4j
- stardog
- networkx
- 트리플 변환
- rdfox
- RDF
- 타임리프
- pyvis
- 스프링부트
- Knowledge Graph
- 사이퍼
- Linked Data
- 지식그래프
- neosemantics
- Thymeleaf
- TBC
- 온톨로지
- 장고
-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 Ontology
- LOD
- django
- 지식 그래프
- RDF 변환
- TDB
- property graph
- cyphe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